:lab
코딩일기
:lab
전체 방문자
오늘
어제
  • 분류 전체보기 (28)
    • 일상 (5)
      • 과학 (0)
      • 개발 (1)
      • Apple (3)
      • 갤럭시 (1)
      • 기타 (0)
    • 실험실 (0)
    • 배운 것들 (17)
      • 블렌더 Blender (0)
      • 깃허브 Github (1)
      • html,css,js (7)
      • python (6)
      • React Native (1)
      • Unity (1)
      • 기타 (1)
    • 블로그 (6)
      • 꾸미기 (4)
      • 수익 (2)

블로그 메뉴

  • 🧇 홈
  • 🏷 태그
  • 🎒 방명록

공지사항

인기 글

태그

  • PyAudio
  • prefix free
  • STANDWITHUKRAINE
  • react native
  • 폰트
  • Prefix
  • 광고
  • Ionicons
  • 10ping
  • Android
  • Random.Range
  • 가상 램
  • h 태그
  • tilt.js
  • Vendor Prefix
  • 구글 클론 사이트
  • 카카오
  • pywebview
  • 왜 됐지
  • Github
  • 브라우저
  • lipsync
  • 텐핑
  • 수익
  • 애드핏
  • 크롬
  • 클론 사이트
  • 이스터에그
  • kivy
  • 티스토리
  • HTML
  • 이게뭐여
  • 햄버거메뉴
  • CSS
  • ios
  • 깃허브
  • font family
  • vscode
  • LINK
  • Python
  • 안드로이드
  • Karabiner-Elements
  • alt-c
  • Mac
  • 구글
  • 맥
  • tenping
  • chrome
  • RAM Plus
  • 파이썬

최근 댓글

최근 글

티스토리

hELLO · Designed By 정상우.
:lab

코딩일기

SetEdit로 갤럭시 가상 램 용량 늘리는 법!
일상/갤럭시

SetEdit로 갤럭시 가상 램 용량 늘리는 법!

2022. 1. 14. 17:49
728x90

 

짜잔! 총 10GB의 램을 가졌습니다 😎

갤럭시를 사용 중이신 분들은 비교적 최근에 생긴 가상 램(RAM Plus)을 보실 수 있으실 겁니다.

원래는 이 가상 램의 용량이 4GB로 되어 있었는데요, 이 방법을 쓰시면 용량을 바꾸실 수 있습니다 😎

우선, 시작하기 전에 미리 준비를 해야합니다!

 

1. 사전 준비

이 방법은 adb(Android Debug Bridge)를 사용합니다. 따라서, 핸드폰과 연결할 기기가(저는 노트북을 사용했어요 :) 필요합니다!
또한, 이 방법은 SetEdit이 설치되어있다는 전제 하에 진행되므로, 아직 깔지 않으신 분은 설치해주시길 바랍니다.

(사실 노트북이랑 연결해서 그대로 터미널에서 adb 명령어로 SetEdit를 사용하지 않고 가상 램 용량을 바꿀 수 있지만, 아래 방법대로 하면 추후에 바로바로 핸드폰에서 설정을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SetEdit를 사용하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:)

일단, 핸드폰에서 설정으로 들어갑니다 :)

 

제 핸드폰은 개발자 옵션을 켜놓았기 때문에 이렇게 밑에 '개발자 옵션'이라고 뜨지만, 활성화를 해놓지 않으셨다면 뜨지 않으실 겁니다.

여기서 휴대전화 정보를 눌러줍니다.

소프트웨어 정보를 클릭해줍니다.

그럼 그 뒤에 '빌드번호'라고 적힌 부분이 나오는데, 빌드번호를 연타해줍니다. (OS 버전에 따라 비밀번호를 요구할 수도 있어요! 비밀번호를 입력해 주시고 진행해주시면 됩니다)

그렇게 연타하면 개발자 모드가 켜졌다는 알림(토스트 메시지)이 옵니다.

그 뒤부턴 개발자 모드가 보이게 됩니다 :)

 

개발자 모드가 활성화되면, 개발자 옵션을 눌러 디버깅-USB 디버깅에서 사용설정을 해줍니다.

그 다음엔 핸드폰과 기기(노트북)를 연결해줍니다!

이제, 노트북에서 adb를 설치해줍니다!

 

SDK 플랫폼 도구 출시 노트  |  Android 개발자  |  Android Developers

Android SDK 플랫폼 도구는 Android SDK의 구성요소입니다.

developer.android.com

여기에 들어가서, 각 운영체제에 맞는 Platform-Tools를 다운받아줍니다.

다운받은 후, 압축을 해제시켜줍니다.

그 뒤, 터미널에 들어가서

ln -s /Users/사용자 이름/tool/platform-tools/adb /usr/local/bin/adb

이 명령어를 쳐 주시고,

adb shell pm grant by4a.setedit22 android.permission.WRITE_SECURE_SETTINGS

아래 명령어를 입력해 SetEdit 앱에 권한을 부여해줍니다.

그럼 이제 다시 핸드폰에서 SetEdit로 들어가서, System Table에서 Global Table로 바꿔준 후,

ram_expand_size라고 적혀있는 부분을 눌러줍니다.

그러면 위 이미지처럼 뜰 텐데, 여기서 Edit Value를 선택해주고, 4096으로 되어있던 값(숫자)을 6144로 바꿔줍니다!(6GB로 설정 시)

4096, 6144는 1GB=1024MB이므로, 이를 이용해 숫자를 적어주시면 됩니다 :) (참고로 가상 램의 용량은 핸드폰의 여유공간의 용량보다 크면 안됩니다!! 또한 가상 램은 저장공간의 일부를 램처럼 쓰는 것이라, 가상 램 용량만큼은 항상 여유공간을 남겨놓아야 하기 때문에 적절히 용량을 타협해주시기 바랍니다!

찾아보니 1GB=1024MB인 줄 알았는데, 국제표준 IEEE1541-2002에 따르면 1GB=1000MB이라고 합니다 :)
여기서는 6000으로 값을 바꿨을 때 가상 램 용량이 5GB로 표시되어 1024를 기준으로 작성했습니다.
추후 이와 관련되어 글을 쓸 예정입니다! 🙂

숫자와 적절히 타협해주시고, 다시 설정으로 들어가보면...!

이렇게 가상 램의 크기가 변경됩니다 😍

728x90
    :lab
    :lab
    환영합니다! :D

    티스토리툴바